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 지질 이중층은 모든 세포막의 기본 구조를 제공하고 있고, 막 양쪽에 존재하는 친수성 분자들에 대한 투과성 장벽으로 작동하지만, 막 기능 중 대부분은 막단백질에 의해 수행됩니다. 아래의 포스팅에서는 막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막단백질이 지질이중층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막단백질은 여러 방법으로 지질이중층과 결합한다 막 기능 중 대부분은 막단백질이 담당하며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동물에서 원형질막을 이루는 총질량의 50%가 단백질이며, 나머지는 지질과 비교적 소량으로 존재하는 당지질과 당단백질에 부착된 탄수화물로 구성된다. 그러나 지질 분자는 크기가 단백질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세포막에는 단백질 분자보다 50배 정도 더 많은 수의 지질 분자가 존재한다. 일부는 지질 이중층을 가로질.. 2024. 3. 15.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 여기서는 모든 세포막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지질이중층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지질 이중층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며 또한 모든 세포막의 일반적인 특성을 구성하는지에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막지질은 물에서 이중층을 형성한다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지질은 한 분자 내에 2개의 상반된 특징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즉, 친수성(물을 좋아하는) 머리와 소수성(물을 싫어하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 세포막에서 가장 풍부한 지질은 인지질인데, 인산기를 포함한 친수성 머리 부분에 한 쌍의 소수성 꼬리가 붙어 있다. 친수성과 소수성 부위를 둘 다 가진 분자를 양친매성이라 부르는데, 인지질이 그러한 특성을 가지는 유일한 막지질은 아니다. 동물세포의 막에서 발견되는 콜레스테롤이나 친수성 머리로서 당을 포함하는 당지질.. 2024. 3. 15.
DNA 염기 서열 분석 모든 생체정보는 생물체의 유전체 안에 뉴클레오타이드의 서열로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유전자와 유전체의 기능과 조절을 이해하는 열쇠는 DNA의 염기서열에 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NA 염기서열 분석 밥법에 대해 다루고, 새로 대두되고 있는 염기서열결정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해 보겠습니다. 디데옥시 염기서열결정법은 뉴클레오타이드 위치마다 DNA 사슬의 분석이 끝나는 것을 이용한다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다른 생물체 간에 진화관계의 실마리를 밝히기도 하고 인간의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아는 것은 PCR을 이용한 클로닝에 필수적인 단계이고, 이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염기서열에 관한 정보는 매우 유용하므로 DNA 염기 서열을 빠르.. 2024. 3. 15.
유전적 변이, 인간 유전체 한 인간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는 DNA는 동일하지만, 같은 종의 개체들이라도 유전체는 각 다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유전적 변이의 생성 이유와 우리 인간의 유전체 특징에 대해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보기로 한다. 유전적 변이의 생성 완전히 새로운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만드는 자연적인 기작은 없다. 그래서 진화는 발명가이기보다는 수선가이다. 즉, 진화는 각 생물체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DNA를 원료로 사용하여 진행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떠한 유전자 혹은 유전체도 전적으로 새로운 것은 없다. 그 대신, 놀랄만한 생명체의 다양한 형태와 기능은 모두 이미 존재하던 것들의 변이로 나타난 결과이다. 이러한 변이가 수백만 세대 동안 쌓이게 되면, 축적된 결과는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1. 유전자 내의.. 2024. 3. 15.